전례와 문화

전례력

우리 인간들은 살아가는데 있어 해와 달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고 있기 때문에, 이미 오래 전부터 해와 달의 변화 규칙에 따라 일정한 주기를 정하여 살아왔는데, 이러한 주기가 발달하여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일반주년(一般週年)인 년(年), 월(月), 일(日), 시(時)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각 지역마다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일정한 주기 속에서 어떤 사건이나 의미를 기념하는 특정한 날이나 기간이 만들어져 매년 그것을 기억하는 예식이 거행되어 왔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년을 한 주기로 하여, 춘(春),하(夏),추(秋),동(冬)의 4계절과 24절기를 나누어 개인생활, 가정생활, 사회생활을 막론하고 이 세시절기(歲時節期)에 따라 삶을 영위하여 왔습니다.

하느님의 창조에서부터 출발하여 그리스도의 수난과 부활로 완성된 구원의 역사를 믿고 가르치는 교회도 이 세상 속에서 살아가면서 사회의 일반주기 제도를 따르고는 있지만, 이러한 일반주기 속에 그리스도를 통하여 실현된 하느님의 구원 역사의 의미를 부여하면서 교회 나름대로 여러 항목과 주제별로 일정한 기간을 분배하여 별도의 고유한 주기를 정하여 지내게 되었습니다.

이렇듯 교회 고유의 주기제도를 1년 단위로 표시한 것을 전례주년(전례주년 : Annus Liturgicus)이라고 하며, 1년의 시간을 통하여 그리스도안에서 실현된 하느님의 위대한 구원업적을 기념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전례주년을 시기, 달, 날짜 순으로 종합하여 적어 놓은 것을 전례력(典禮曆 : Calendarium Liturgicum) 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전례헌장은 전례주년의 의미에 대하여

"교회는 1년의 과정 속에서 그리스도의 모든 신비, 즉 강생에서 시작해서 성신강림날과 주님의 기다림을 기념한다" (102항)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하느님은 당신의 구원사업을 역사적 시간 속에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현하고 계십니다.
따라서 인간의 모든 시간은 구원의 시간이며 하느님의 시간인 것입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회의 임무는 모든 세대에게 그리스도 안에서 실현된 구원의 업적을 전하고 인간들이 그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교회는 바로 이러한 사명을 '전례'를 통하여 수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특별히 전례주년을 통하여 교회는 그리스도 안에서 실현된 하느님의 구원역사와 업적을 단계적으로 기념하고 재현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볼때 전례주년을 이루는 토대는, 하느님께서 인류 역사 안에서 단계적으로 실현하신 구원업적입니다. 그런데 하느님의 구원사업은 세상 끝날까지 계속 될 것이기 때문에, 전례주년은 과거의 구원역사 뿐 아니라 미래에 완성될 구원을 준비시키는 내용까지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수부할 대축일

예수부할 대축일 성야미사

전례 의미

전례는 교회의 의식(儀式)이다.

교회가 성서나 성전(聖傳)에 의거하여 정식으로 공인한 의식으로 개인의 신앙생활과는 구별된다.

그리스도의 신비체로서의 교회 안에서 그 전례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는 것은 미사(Missa)이며, 그밖에 성사 및 준성사, 성무일도, 성스런 행렬, 성체 강복식 등이 전례 속에 포함된다.

이 말의 원어(原語)는 히브리인들에게 보낸 편지 10:11에 나오는 그리스어의 `liturgia'이며, `민중(laos)에 대한 봉사(ergon)를 의미하였다. 또 가난한 사람에 대한 교회의 구빈사업(救貧事業)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였다(2고린 9:12).

그런데 민주에 대한 봉사나 구빈사업은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교회에서 집단적으로 행해졌기 때문에 뒷날에는 교회의 의식이 전례라는 말로 굳어지게 되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전례를 통해서 우리 속죄의 구원사업이 수행된다. 그러므로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신비와 참된 교회의 본질을 다른 이에게 드러내 보이고 명시하는 데 가장 큰 도움"(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이 되는 것이 전례라고 말한다.

전례는 하느님과 구원되어야 할 인간들과의 결합이며, 끊임없는 만남이라는 의미가 강하게 표현되어 있다. 곧 교회는 전례를 통해 하느님을 세계의 창조주로, 또한 주재자(主宰者)로 공경하고, 그에게 감사하며, 속죄를 드리며 기원한다.

전례의 주체는 교회다. 교회 안에는 하느님의 구원사업을 완수하기 위하여 그리스도가 현존(現存)한다. 미사에도, 성체형상에도, 사제의 인격 속에도, 말씀 속에도 존재할 뿐 아니라 "두 사람이나 세 사람이 나의 이름을 위하여 모인 곳에는 나는 그 가운데 있다"(마태 18:20)는 복음과 같이 교회에는 하느님이 현존한다. 비록 전례가 성직자에 의해 거행되더라도, 그것은 그 속에 현존하는 예수 그리스도 자신의 행동으로 간주된다. 그러므로 전례는 교회의 위임에 따라 지정된 성직자가 거행하는 의식적 행위 전체라고도 정의된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교회의 사제직이 지진 독특한 성격을 오해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원래 사제란 예수 그리스도 한 사람뿐이다. 그는 대사제이며, 다른 모든 사제는 그의 기관에 불과하다. 따라서 사제가 수행하는 모든 전례에 있어서 그 권능(權能)은 예수 그리스도로부터 위임받은 사항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로부터 위임받아 거룩하게 된 사제는 독특한 위치를 지닌다. 한편으로는 그리스도의 대리자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신자들의 대변자다.

그리스도교의 전례는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다른 종교의 의식과는 달리 본질적으로 민중이 참여하고, 같이 기도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그래서 성당의 설계도 다른 종교의 사원 (寺院)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보통 사원은 신상(神像)을 안치하는 하나의 작은 방인데 비하여, 성당(ecclesia)d은 신자들의 집회소(集會所)이다. 때문에 사원이 와양(外樣)을 위주로 한 건축인데 비해, 내부를 위주로 한 건물이 성당이다.

여기서 전례가 바로 신자 공동체를 위한 의식이고, 공동체를 위한 기도라는 점이 나타난다. 신자는 이 공동체에의 참여를 통하여 비로소 하느님의 구원사업에 동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신자들은 주일미사와 부활절 및 지켜야 할 축일에는 반드시 전례에 참여해야 한다. 전례는 외적인 형식을 존중하고, 기도와 성가도 큰소리로 불러야 하며, 일정한 장소와 때를 지킨다. 왜냐하면 모든 공동체적인 행동은 사람들이 모일 공간적 시간적으로 확정된 중심과 감각적으로 지각될 수 있는 대상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가톨릭대사전 참조)

교회는 거룩한 전례로 하느님께 예배드리고 인간을 성화하는 그리스도의 사제직을 수행하며 구원 업적을 재현한다
(교회법 제834조; 전례헌장, 7항; 사목회의 전례 의안, 1항 참조).

구원사업을 완수하신 그리스도께서 전례행위 안에 항상 현존하시며 활동하시기 때문에 전례행위 교회의 다른 어떤 행위와도 비교할 수 없는 효과를 내는 거룩한 행위이다.
(교회법 제836조; 전례헌장, 7.10항 참조)

행사일정

아래 행사일정은 저희 성당 총무님과 부총무님, 사무장님, 그리고 총회장님이 공동으로 함께 관리하고 있습니다.

교실 사용 현황

교실 사용 현황

교실 사용 예약은 사무실 또는 총무(sjcatholic [dot] k [at] gmail [dot] com)로 신청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