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는법
지는 것을 배우는 과정은
영혼에 깊은 상처를 남긴다.
스스로를 부정하지 않으면
강요당한 자기상실을 감내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기 부정만이
자기 긍정의 유일한 길인 셈이다.
그 길이 어둡고 외롭다고 회피할 때
남은 선택은 비굴한 변절 아니면 죽음뿐이다.
성공한 사람들의 자살이나
한때 정의를 외쳤던 사람들의 변절은
어쩌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지는 것을 배우지 못해서다.
모든 비극은 가장 소중한 사람이 받은 상처조차도
함께할 수 없는 인간의 한계에서 비롯된다.
기억과 연상을 통해 머리나 심장으로
타인의 고통을 이해할 수는 있다.
그러나 몸으로 해야 하는 체험은 불가능하다.
다른 사람과 한몸이 될 수 없는 한,
상처는 온전히 나만의 것이다.
더구나 진정한 상처는
누구에게도 말할 수 없는 것이다.
오직 상흔을 껴안고
자기 부정을 감행한 사람만이
타인과 몸으로 만날 수 있다.
모든 상처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생긴다.
관계가 깊어지면 상처도 깊어진다.
그래서인가 나이가 많을수록
엷은 형식적 관계에 만족하는 것을
삶의 지혜로 여기는 사람이 많다.
몸으로 함께하는 만남과 소통을
처음부터 포기한 이들에게
사랑이 찾아올 수 없으며
그 덕에 상처도 없을 것이다.
남은 것은 꽉 짜인 기능적 연관관계뿐이다.
부모와 자식, 선생과 학생,
남편과 아내, 선배와 후배,
상사와 부하, 자본가와 노동자만 있고
사람은 없다.
각자의 역할과 기능만 있을 뿐
삶의 의미와 자유는 없다.
상처받지 않으려 한쪽은 권위를 앞세우고,
다른 쪽은 생각을 멈춘다.
지는 것을 모르는 사회에서
진정한 사랑이 불가능한 이유다.
-박용구 -
- Login to post comments
- 조회:1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