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오로해 2008년 6월 28일~2009년 6월 29일

출처: 평화신문 2008. 03. 09발행 [960호]

2000년 전 성인의 삶과 열정 본받자

- 수도회, 교구, 본당들, 서간쓰기와 특강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 마련

'바오로 해'를 맞아 수도회, 교구, 본당들은 바오로 사도의 삶을 본받고 심화하기 위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가톨릭교회는 이방인의 사도 성 바오로 탄생 2000주년을 맞아 오는 6월 28일부터 2009년 6월 29일까지 1년간 성인의 삶과 신앙의 의미를 되새기는 시간을 갖는다.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지난해 6월, 올해를 특별 희년으로 선포하고 사도 바오로를 보편교회 본보기로 제시했다. 아울러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에게 성인의 선교 정신에 따라 인류 복음화에 노력해달라고 당부한 바 있다.

성바오로수도회ㆍ성바오로딸수도회 등 한국 바오로 가족수도회는 지난 1월 서울 강북구 미아9동 성바오로딸 수녀원에서 바오로 해 준비미사를 봉헌한 것을 시작으로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한국 바오로 가족수도회는 △성 바오로 서간 쓰기 △개막ㆍ폐막미사 봉헌 △바오로 가족 수도회 잔치 △바오로 가족 UCC 만들기 대회 등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한국 바오로 가족 수도회에는 성바오로수도회ㆍ성바오로딸수도회ㆍ스승 예수의 제자 수녀회ㆍ선한 목자 예수 수녀회ㆍ예수 사제회ㆍ성 마리아 영보회ㆍ성가정회 등이 있다.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서울관구(관구장 김영희 수녀)는 올해 한국 진출 120주년과 바오로 해를 맞아 첫 선교사 수녀들을 기억하며 사도 바오로의 영성을 닮아가는 해로 지난 1월 선포했다. 수도회는 △바오로 서간 렉시오 디비나와 피정 △바오로 사도 전도여행 지도 만들기 △바오로 서간 말씀 암송하기 △바오로 닮기를 공동주제로 묵상과 나눔 △바오로 카페 개설 등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수원교구(교구장 최덕기 주교)는 사순절을 맞아 발표한 교구장 사목서한을 통해 전 교구민이 성인의 정신과 영성을 깊이 깨닫고 본받기 위해 '선교활동'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최덕기 주교는 서한에서 "바오로 해 핵심은 복음전파와 선교"라고 강조한 뒤 "'새 가족 찾기'와 '우리 가족 찾기' 등 본당과 대리구에서 실시하는 선교운동을 적극적이며 체계화하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교구는 △6월 29일 개막미사 봉헌(정자동주교좌성당과 조원동공동주교좌성당, 대리구좌성당) △사도행전과 바오로 서간 필사운동 △바오로 신학 강연 △다마스쿠스 체험 프로그램 △선교 우수본당 표창 △해외 선교 모금운동 등을 전개한다.

교구 설정 60주년을 맞은 대전교구(교구장 유흥식 주교)는 신자들이 바오로 사도의 말씀을 더 깊이 새기고, 복음 선포의 열정을 갖기를 바라며 '바오로 서간' 필사를 권장하고 있다. 교구는 이에 따라 바오로 서간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곁들인 바오로 서간 필사 노트를 제작, 보급하고 있다.

서울대교구 공동사목 오금동본당(주임 이기양 신부)은 2월 22일~3월 14일 매주 금요일 오후 8시 성당에서 본당 바오로 해 기념 특강을 마련하고 있다. 강의는 △바오로 사도의 다마스쿠스에서의 체험(2월 22일, 최승정 신부) △바오로 사도의 가르침과 영성(2월 29일, 이금희 수녀) △고통, 그 인간적인 것(3월 7일, 송봉모 신부) △바오로 사도의 전도 여행(3월 14일, 김영남 신부) 순이다.

서영필(성바오로수도회) 신부는 "올해가 바오로 해로 명명된 것은 현대교회가 성인의 삶과 열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일 것"이라며 "사울을 넘어뜨리고 사도를 불러일으킨 성인의 그리스도 체험을 본받아 우리 모든 삶에 변화를 꾀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힘 기자
lensman [at] pbc [dot] co [dot] kr

사도 바오로(Paul)| 축일: 6월 29일
-- 출처: 성 바오로의 딸

성 바오로(67년경)는 벤야민 지파의 유다인으로서 로마 시민권을 가지고 있었고, 유명한 랍비 가믈리엘의 문하생으로 예루살렘에서 공부했던 분이다. 그가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기 전까지는 사울이라 불렀고, 천막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엄격한 바리사이파였으며 크리스찬의 열렬한 박해자였고, 첫 순교자이신 성 스테파노의 순교 현장에도 있었다.

그는 크리스찬들을 박멸할 목적으로 다마스커스로 가던 도중에 유명한 환시를 보는데(34-36년 사이), 이것이 그의 극적인 개종과 더불어 이방인의 사도로 만드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그 후 그는 3년 동안 아라비아에서 지낸 다음, 설교하기 위하여 다마스커스로 돌아오면서부터 그의 파란만장한 선교사 생활이 막을 올린다.

그는 39년경에 바르나바의 도움으로 예루살렘에서 사도들을 만나고 공식적으로 크리스찬 공동체에 입적한 후, 43년경에 안티오키아로 파견되어 그곳에서 교회의 교사가 되는데, 이것이 이방인을 상대로 하는 그의 대 전교활동의 서막을 올린 결과가 되었다. 그 이후로 바오로는 세 차례의 전교 여행을 한다. 그들은 안티오키아에서 출발하여 키프로스 섬에 머물렀고 그다음 지금의 터어키를 통과했다.

사도들의 예루살렘회의 후에 바오로 사도는 제2차 여행을 시작하는데 이번에는 명백하게 '12 사도들의 파견'이라고 표현한다(사도 15,36-18,22). 터어키를 다시 횡단하여 프리기아와 그가 아팠던 갈라디아(갈라 4,13)에서 복음을 전한다. 그 다음 루가와 함께 유럽으로 들어와서 필립비 공동체를 세운다(희랍 남부). 한 동안 감옥 생활을 한 후 희랍에서 복음을 전한다.

아테네에서의 복음 전파는 철학자들 앞에서 좌절된다. 고린토에 가서 공동체를 세우는데 그 교회는 바오로 사도를 매우 성가시게 하였다. 그후 안티오키아에 되돌아 왔다. 제3차 여행 동안 바오로 사도는(사도 18,23- 21,17) 현재 터어키 지역에 속하는 교회, 특히 에페소 교회, 그 후 희랍에 속하는 교회와 고린토 교회를 두루 다녔다.

밀레도스를 지나면서 바오로 사도는 장로들에게 자기가 당한 고난을 말해준다. 이 말 그대로 예루살렘에 돌아온 후 얼마 안되어 그는 히브리인들에게 체포되어 감옥에 갇힌다(사도 21장). 그는 로마 시민이므로 로마에 항소하였다. 이렇게 로마를 향하여 4번째 여행이 시작되었지만 이제는 자유의 몸이 아니다(사도21-26장). 60년 아니면 61년에 도착하여 63년경까지 감옥에 갇혔다.

한편 좀 자유스런 몸이 되면서 로마의 그리스도 신자들과 자주 만나면서 '옥중 서간'을 쓴다. 63년경 감옥에서 해방되어 아마도 스페인을 향하여 마지막 여행을 했는지도 모른다(로마 15,24-28). 아니면 다가올 자기 운명을 편지로 써서 알려준 디모테오와 디도의 공동체를 향하여 갔을지도 모른다. 그후 체포되어 감옥에 갇히고 67년경 순교를 당하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