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성법 - 전례음악 카페에서 가져옴.

단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

전례음악 카페에서 가져온 글을 아래에 부칩니다. 좋은 참고 되시기 바랍니다.

윤안도 요셉 배상

------------------------------------------------------

테너 이상용 선생님의 홈페이지~

1)발성법에 대하여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우리들은 좋은 조건의 소리가 어떤 것인지 누구나 잘 알고 있다 즉, 보다 뾰족하고 좁은 소리, 밝은 소리, 목안이 열린 소리, 호흡에 받힌 깊은 소리, 높은 pitch의 소리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그와 같은 소리를 추구하다 보면 아래와 같은 오류를 범하기가 쉽다

1.좁은 소리를 내려고 목을 닫는다.
2.밝은 소리를 내려고 되바라진 소리를 낸다.
3.목을 연 소리를 내려고 소리를 넓힌다.
4.깊은 소리를 내려고 목을 누르거나 몸에 힘을 준다.
5.높은 소리를 내려고 날아가는 가벼운 소리를 내거나 뒤쪽으로 넘어가는 어두운 소리를 낸다.

그렇다고 이 모든 것을 하나하나 따라 하다보면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 즉, 하나를 신경 쓰면 다른 것이 안되고 다른 것이 좋아지면 또 다른 부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좋은 방법을 소개하자면 모든 소리를 cover시키는 것이다. 만약 소리를 전부cover 시킨다면 그래도 위의 모든 항목의 오류를 그래도 가장 쉽게 벗어 날 수 있다. 즉, 모든 소리를 감싸주듯이 덮으면서 내면 쉽게 목이 열리면서 pitch가 높아지며, 호흡에 의해 받쳐진 깊은 소리를 내기도 수월해 진다.

처음엔 소리가 답답한 것 같은 느낌도 있지만 자꾸 내 보라 익숙해진 후엔 훨씬 편하고 소리를 낼 때 기분도 상쾌해 진다. 단, 소리의 point는 앞쪽의 입술이나 앞니에서 벗어나면 안 된다. 그래야 밝은 소리가 난다. 물론 정확한 호흡법이 전재되어야 함은 두말할 것 없다.

2)그렇다면 정확한 호흡법이란 어떤 것인가?

이것이야말로 논란의 대상이다 왜냐하면 각 선생님마다 그리고 성악가마다 많이 다르기 때문이다. 성악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하는 호흡법이 여러 가지니 성악도에게는 상당히 혼동을 불러일으키는 게 사실이다. 나 자신 또한 다년간 이 부분에서 엄청난 시행착오를 겪은 바 있는데, 지금에 있어서는 너무나도 확신에 찬 정확한 호흡법이 있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이는 나만의 방법이 아니고 많은 대가들이 사용하는 방법이며 국내에서도 많은 선생님들도 가르치고 있는 방법으로서 자신 있게 추천하는 바이다

호흡방법에는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1.흉식호흡
2.횡경막호흡
3.복식호흡

물론 이 3가지 호흡방법이 전혀 별개는 아니며 서로 상관관계를 갖고 있음이 확실하다. 즉, 복식호흡에 가슴이나 횡경막이 전혀 상관없는 것이 아니며, 횡경막호흡을 한다고 가슴이나 배가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가슴,횡경막,복부 중 어느 부분으로 숨을 들여 마시느냐는 의식에 따라 소리에서 엄청난 차이가 난다. 나는 이 세가지 호흡법 중 두번째인 횡경막호흡법에 대해 소개 하고자 한다.

숨을 들여 마시면 -심호흡이 노래할 때의 호흡이다- 폐에 숨이 들어가면서 횡경막을 밀어내면서 복부까지 팽창된다. 이때 횡경막은 돔형이었다가 숨이 폐에 들어오면서 아래쪽인 복부를 아래로 밀어내면서 팽창시키는데 복부 쪽만 팽창시키는 것이 아니라 옆쪽인 갈비뼈 아래 부분도 옆으로 밀어내면서 팽창시킨다. 이때 우리는 후자인 갈비뼈 아래쪽(옆구리)을 옆으로 밀면서 횡경막을 팽창시킨다고 만 생각해야 한다. 복부는 자연스럽게 전체적으로 팽창하도록 몸에 맡긴다. 그리고 팽창된 횡경막은 소리를 내고 있는 동안 그대로 유지시키도록 노력한다. 요약해 설명하자면 숨을 들여 마실 때 옆구리를 열면서 횡경막을 옆으로 팽창시킨다는 생각을 하라. 그리고 그것을 유지하라.

20세기 초반 Caruso,Gigli,Schipa,lauri-Volpi등 수많은 훌륭한 성악가가 많이 배출되었다. 그들을 흔히 belcanto가수라 칭한다. 그 중에 한 명인 Aureliano Pertile가 그림으로 소개하는 횡경막 호흡법이다. 모든 belcanto가수들은 이 호흡법을 사용하였다.

갈비뼈의 아랫부분이 전체적으로 넓어지면서 횡경막이 마치 평평한 막이 된다는 느낌으로 숨을 충분히 들여 마신다.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몸에 힘이 들어가서는 절대 안 된다는 것이다. 처음엔 전혀 움직이지 않는 사람이 많이 있으나 연습을 하면 누구나 습득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숨을 들여 마실 때 옆구리를 열면서 횡경막을 팽창시키고 모든 소리를 cover 시킨다. 단, 위쪽의 공명보다 먼저 아래쪽의 appoggio(소리의 지탱)가 우선 되어야 한다. 조금 어려운 문제이면서 반드시 풀어야 숙제이기도 한 이 appoggio(소리의 지탱)는 정확한 호흡법과 함께 성악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3)그렇다면 appoggio란 무엇인가?

appoggio란 이태리어로 동사 appoggiare (지지하다,지탱하다)의 명사형으로 영어로는 support에 해당한다. 편의상 한국어로 소리의 지탱이라 표현한다. 소리는 목이든 가슴이든 배든 어딘가에 지탱되어 있는 것이 분명히 구분된다. 목이나 가슴에 지탱되어 있는 것 보다는 당연히 아랫배 깊은 곳에 지탱되어 있는 소리가 가장 좋은 소리임에 틀림없다.

다시 한번 정리하면 숨을 들여 마시면서 정확한 횡경막호흡을 할 줄 알며 소리를 아랫배까지 울린다는 생각과 함께 모든 소리를 cover시키는 것이 된다면 누구나 굉장히 좋은 소리를 낼 수 있고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는 몇 가지 문제 때문에 이와 같은 소리를 내는 것이 마음처럼 되질 않는다.

4)그렇다면 몇 가지문제란 어떤 것들인가?

그것은 사람마다 소리를 내는 습관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지면을 통해 지적하기는 어렵지만 대체적으로 다음 두 가지가 대부분이다.
1.목에서 나는 소리를 버리지 못한다 (특히 성대를 울린다는 생각과 함께 목을 닫으면서 결국 목에서 나는 소리를 낸다)
2.혀근쪽을 수축하면서 턱과 후두부분에 힘을 준다.

노래가 잘 안 되는 이유는 상기 두 가지 문제를 갖고 있음이 대부분이다. 만약 이런 문제를 안고 있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는 앞에서 서술한 좋은 발성을 습득 할 수 없다.

5)그렇다면 어떻게 자기의 문제를 알 수 있나?

상기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 중 스스로 알고 시인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상기 문제를 갖고 있으면서 자신은 전혀 모르고 있는 사람들도 많이 있다. 다행히 위의 문제들을 발견할 수 있는 자가진단법이 여러 가지 있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1.소리를 낼 때 턱 아래 근육이 단단해진다.
2.소리를 낼 때 "아담의 사과"라고 하는 목 중앙에 튀어나온 뼈의 위치가 위로 올라가거나 안으로
감춰진다.
3.중창이나 합창을 하면서 화음이 잘 안되기 때문에 소리가 튀어난다.
4.큰 공간에서 소리의 전달이 풍성하게 되지 않는다.
5.정확한 음정의 울림이 아니므로 좋은 귀를 가진 지휘자나 반주자에게 음정이 안 좋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기서 음정이란 말은 원래 두음간의 간격을 의미하나 일반적으로 음의 정확함을 표현함)

소리를 내는 동안 턱 아래 근육을 만져보았을 때 단단하다는 것은 혀근이나 후두근에 힘을 준다는 단적인 표시이다.
그리고 후두는 아래쪽에 위치해야 성대의 상태가 가장 노래하는 데 적합한데 이는 "아담의 사과"라 불리우는 목 중앙의 돌기뼈가가장 하향되는 것으로 표시된다. 이때 근육에 지나친 힘을 주거나 목을 누르는 것은 금물이고 횡경막과 목을 활짝 열면서 자연스럽게 내려야 한다.
좋은 소리는 정확한 울림과 좋은 배음을 갖고 있음으로 중창이나 합창 시 크게 소리를 내더라도 화음이 되기 때문에 그 사람의 소리는 들리지만 전혀 귀에 거슬리지 않고 오히려 주위의 다른 소리들을 감싸주지만, 좋지 않은 소리는 음정이 정확하지 않아 화음이 되지 않기 때문에 조금만 크게 내도 앙상블에 방해가 된다. 음의 전달력도 마찬가지 좋은 소리는 넓거나 먼 거리에서도 마치 가까운데서 부르는 것처럼 들리지만 좋지 않은 소리는 조금만 떨어져도 답답하게 막힌 것처럼 들린다.

6)결론적으로 종합해서 정리하면

숨을 들여 마실 때 횡경막이 사방으로 팽창한다는 느낌을 갖으면서 충분히 들여 마시고 소리를 내되 소리를 내는 동안 턱아래 근육이 완전히 이완되어 있어야 하며 후두는 목의 가장 아랫부분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 소리는 위쪽의 공명강들이 공명 되어야 하되 단지 위쪽 공명만 생각하면 목이 닫히기 쉽고 위로 떠있는 약한 소리가 되기 쉬우므로 먼저 아래쪽을 울려주는 appoggio를 하면서 모든소리를 cover시키되 point를 입술에서 혹은 앞니에서 떨어뜨리지 않으면 된다.

이상 다년간 이태리에서 belcanto가수라고 생각되는 사람들로부터 공부한 가장 belcanto다운 소리를 내는 방법을 정리해보았다. 좋은 발성이란 알기만 하면 자기 것이 되는 학문이나 지식이 아니라, 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내 것이 되기란 여간 힘든 일이 아닌 체험과 터득의 소산이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자신의 소리를 정확하게 스스로 구별하지 못한다는 난점 때문에 더욱 힘들다. 오늘날 발성에 대한 수많은 책자들을 통해서도 보듯 발성이 지나치게 학문화, 지식화 그리고 이론화 되었다 . 또한 많은 선생님들이 너무 기계적인 방법을 요구하기도 한다. 하지만 노래에 그렇게 복잡 다양한 방법이 사실은 필요가 없다. 상기내용을 염두에 두고 꾸준한 노력한다면 누구나 많은 진보가 있을 것을 확신한다.

1)적당한 연습과 훈련.
정확한 방법과 테크닉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토대로 한 적당한 연습과 훈련 또한 더욱 중요하다. 좋은 방법이라 해도 연습을 하지 않으면 소용없고 아무리 완벽한 방법이라 하더라도 무리한 연습은 금물이다. 한번에 30분 이상 연습은 가능한 삼가 하며 30분정도 연습을 하루에 두 번 내지 세 번을 매일 빠짐없이 연습하길 추천한다. 그리고 일주일에 하루나 이틀정도 완전히 쉬어준다. 연습시 계속되는 고음연습은 금물이며, 중음과 고음 그리고 저음을 골고루 연습해야한다. 너무 극한 고음이나 너무 극한저음 또는 너무 극한 큰소리는 조심하라.

2)는 보다 강한 힘을 발휘하는 Relax
어떤 스포츠든 relax가 필요 없는 스포츠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relax에서만이 인간의 한계에 도전할 수 있는 강한 힘이 생기기 때문이다. 배구,야구,골프,권투등 모든 스포츠를 포함한 운동과 태권도, 단, 요가, 쿵푸,등 기를 필요로 하는 호신술이나 무술도 relax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노래에서 역시 relax는 필수 적이다. relax에서 나오는 힘은 근육에 힘이 들어간 것에서 나오는 힘과는 비교할 수 없는 강한 에너지와 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즉 소리를 내면서 어딘가 힘을 주어서는 절대 안 된다. 몸에 힘을 완전히 빼고 relax상태에서 생기는 힘의 탄력과 기를 통해서 소리를 내야한다.

3)식사조절
만약 횡경막 호흡법을 정확하게 사용한다면 당연히 과식 후엔 소리내기가 불편하다. 이는 만복상태에서는 횡경막이 아래쪽으로 내려가야 할 공간을 위가 차지하기 때문이다. 누구나 한번쯤 숨을 못 쉴 정도로 배불리 먹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생각해 보라 물론 극단적인 표현이지만 숨도 못 쉬겠는데 무슨 노래를 부를 수 있겠는가. 과식을 해도 소리와 전혀 무관한 사람, 더 나아가 많이 먹어야 소리가 더 잘 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횡경막하고는 전혀 상관없이 노래하는 사람일 것이다. 그렇다고 금식을 하면 성대가 건조해 지므로 그것 또한 좋지 않다. 그러므로 소식을 권한다. 노래하기 전에는 절대 과식(過食)하지 말고 소식(小食)하라.

4)연습에 적합한 음향 여건
자기소리는 자신의 귀로 들으면서 스스로 구별하지 못 한다. 이는 자기소리는 내이(內耳)와 외이(外耳)로 동시에 들리기에 그렇다. 우리가 소리를 구별하는 것은 결국 우리의 귀를 통해서 뿐 아니라 소리를 낼 때 울려지는 느낌으로 구별하는 것이다. 이때 주변상황에 따라 차이가 많다. 좁은 공간, 넓은 공간, 울리는 공간, 그렇지 않은 공간 등,
음향학에서 음은 진행 중 어떤 장애물에 부딪히면 반사되는데, 그 거리가 17m 이하이면 동시에 들리고 그 이상이면 울림으로 들린다고 한다. 어떤 극장이든 대부분 가수와의 거리가 17m이상일 것이다. 게다가 관객들도 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즉 극장에서 노래할 때는 반향이 있어도 그 반향소리는 울림이지 내 소리와 동시에 들리지 않는 소리다. 그러나 주로 우리가 연습하는 장소는 좁으면서(17m이내) 울리는 장소가 많다. 그러니까 소리를 내면서 들리는 소리와 반향된 소리가 동시에 들리므로 우리의 소리를 구별하는데 혼동을 준다. 우리의 연습장소가 그 반향되는 벽이나 천정의 높이가 17m이상이면 모르지만 그렇지 않으면 흡음벽을 통해 방음을 잘해놓아야 실제 무대의 음향과 느껴지는 감각이 가장 흡사하다. 우리의 주변의 음향여건을 잘 파악하면서 우리에게 들리고 느껴지는 우리의 소리를 구별하는 능력을 키우자.

5)자신감
소리란 단순해 물리적인 진동이나 파장이 아니라 감정의 표현이다. 자신감이 있는 것과 없는 것에는 그 표현의 차이가 많이 난다. 우리는 누구나 부족하지만 노래하고 있는 순간만큼은 부족하든 않든 최고의 자신감을 가지라. 자신이 세계최고라는 착각에 빠져라.
Pavarotti의 말을 인용하면 그는 말하기를 "우리가 만약 Caruso가 노래할 때 느꼈던 기분과 마음을 똑같이 느낀다면 우리도 그와 같은 소리를 낼 것이다" 라고 했다. 노래할 때의 감정과 자신감이 소리에도 엄청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기억하고 기본적인 테크닉과 함께 자신감을 갖고 자신 있게 노래하자.

6)적당한 숨의 양
노래할 때 사용되는 숨의 양은 그다지 많이 필요하지 않다. 적당한 만큼 충분히 숨을 들여 마신 다음 20초-25초 가량 정상적인 볼륨으로 한숨에 소리를 낼 수 있는 정도의 양이 적합한 양이다. 일반적으로 공기를 적게 사용하는 사람은 드물고 대부분 너무 많은 공기를 허비한다. 만약 정상적인 볼륨으로 10초 이상 소리를 지탱 못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당연히 숨을 낭비하는 사람이다.

7)Passaggio
Passaggio란 연결구란 뜻의 이태리어로 발성에서 말하는 passaggio는 중음 역에서 고음 역으로 지나가는 부분을 의미한다. 각 파트마다 그리고 사람마다 차이가 있으나 Tenor를 예로 들면 파, 파샵, 혹은 솔 음을 말한다. 이음들은 중음으로선 높은 소리이고 고음으로선 낮은 소리이기에 소리의 위치나 압력을 조절하기가 어렵다. 즉, 되바라지거나 뒤로 어두워지기 쉽다. 흔히 passaggio는 소리가 바뀌어야한다는 생각으로 소리의 방향과 빛깔까지 바꾸기도 하는데 매우 위험하다. 권하건데 앞에서 제시한 기본방법을 틀로 하여 appoggio만 놓치지 않고 똑같이 진행한다면 자연스럽게 소리 자체가 스스로 좋은 방향으로 진행되므로, 너무passaggio란 것에 집착할 필요 없다.

8)소리의 통일성
성악을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모든 소리를 음이 바뀌든 발음이 바뀌든, 혹은 크든 작든 항상 같은 소리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음이 하행할 때 더욱 조심해서 pitch가 떨어지지 않도록 같은 위치 혹은 매 소리마다 보다 높게 내려고 노력하라. 또한 음이 상행할 때 호흡이 빠지면서 울림이 올라가지 않도록 조심하라.

9)성대의 진동
많은 사람들이 소리의 빛깔을 위해 성대를 울린다며 목을 조이면서 닫는다. 이는 가장 흔히 범하는 실수인데, 마음놓고 목을 열기 바란다. 성대는 내가 좁힐 수 있는 게 아니라 성대운동의 질환이 있지 않은 이상 숨이 지나가면 무조건 울리게 되어있다. 소리에 빛깔이 없다면 공명과 appoggio의 부족이지 성대 울림의 부족이 아닌 것이다.

~솔리스트들의 목소리가 튀는 이유~소리의 증가율~

글쓴이~ 조한경님

각 성가대들이 많은 솔리스트들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음잡이라든가 모자라는 성량을 채우기 위함이라든가 특별찬송을 위한 순서라든가

여러가지 필요에 의해서 솔리스트들을 세우고 있다.

하지만 불필요하게 과도하게 큰 소리는 전체의 앙상블을 깨기도 한다.

그렇다고 솔리스트가 그렇게 큰 소리를 내는 것도 아닌데

솔리스트의 목소리는 항상 잘 들리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발성법의 차이에서 뿐만 아니라

소리의 증가율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우선 발성법에서는 한국의 거의 모든 성악교육이 오페라지향이기 때문에

성대를 강하게 비벼서 사용하는 창법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작게 내더라도 흔히 말하는 팀브르(팀버; timbre)가 다르기 때문에

솔리스트의 목소리는 명확하게 들린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는 그 발성법에 대해서 자세히 이야기 할 것은 아니고

제목에서처럼 소리의 증가율이라는 면에서 이야기하고자 한다.

우리는 수학적인 사고의 영향으로 1 + 1 = 2 라는 생각이 어렸을때 부터 들어왔기 때문에

같은 크기의 소리를 내는 사람이라고 가정하고,

한 사람의 소리와 두 사람의 소리를 합하면 한 사람과 두 사람의 차이는 두배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음향학적으로 소리의 증가율은 14%밖에 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두 사람의 소리가 합쳐지면, 각 사람의 소리가 1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1의 14%의 증가율인 0.14만 증가하게 되어서 1.14의 크기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1인 사람이 2인 사람의 소리와 같게 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6명의 소리가 있어야 그 근사치에 도달하게 된다.

3명일 경우 1.14 + (1.14 x 0.14) = 1. 2996

4명일 경우 1.2996 + (1.2996 x 0.14) = 1.481544

5명일 경우 1.481544 + (1.481544 x 0.14) = 1.68896016

6명일 경우 1.68896016 + (1.68896016 x 0.14) = 1.9254145824

옛날 르네상스 시대에서는 이러한 음향학이 발달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이 같은 발성을 내도록 하였으며, 또한 포르테를 요구하는 부분에서는

가수가 성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추가시켰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참 놀라운 사실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솔리스트를 기용하여 사용할 경우라든가 특별하게 목소리가 큰 사람들에게는

앙상블을 위해서 발성을 섞이기 쉬운 창법으로 할 것과

다른 합창하는 사람들이 같이 소리를 어느 정도 내 주어야만 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도

좋은 합창을 만들 수 있는 요건이리라 싶다.

댓글

발성연습을 위한 오디오 파일을 추가했습니다.

컴퓨터 앞에서 발송연습을 하기는 좀 그렇치만.. MP3 포맷이므로, 다운받아 원하시는 장치(MP3 플레이어, 전화기 등)를 이용하여 연습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오 파일 자료실에도 올려놓았습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그리고 바로 이동합니다.

노래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음악을 모르더라도 노래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보다 알고 노래를 부르면 더 아름다운 목소리를
이웃에게 기쁨을 줄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감사합니다. 부지런히 연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