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음 묵상 】10/4 토요일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기념일…양승국 신부님

카테고리:


10월 4일 토요일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기념일-루카 10,17-24

?

그때에 일흔두 제자가 기뻐하며 돌아와 말하였다. “주님, 주님의 이름 때문에 마귀들까지 저희에게 복종합니다.” 그러자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이르셨다. “나는 사탄이 번개처럼 하늘에서 떨어지는 것을 보았다. 보라, 내가 너희에게 뱀과 전갈을 밟고 원수의 모든 힘을 억누르는 권한을 주었다. 이제 아무것도 너희를 해치지 못할 것이다. 그러나 영들이 너희에게 복종하는 것을 기뻐하지 말고, 너희 이름이 하늘에 기록된 것을 기뻐하여라.” 그때에 예수님께서 성령 안에서 즐거워하며 말씀하셨다. “아버지, 하늘과 땅의 주님, 지혜롭다는 자들과 슬기롭다는 자들에게는 이것을 감추시고 철부지들에게는 드러내 보이시니, 아버지께 감사를 드립니다. 그렇습니다, 아버지! 아버지의 선하신 뜻이 이렇게 이루어졌습니다.” “나의 아버지께서는 모든 것을 나에게 넘겨주셨다. 그래서 아버지 외에는 아들이 누구인지 아무도 알지 못한다. 또 아들 외에는, 그리고 그가 아버지를 드러내 보여주려는 사람 외에는 아버지께서 누구이신지 아무도 알지 못한다.” 그리고 예수님께서는 돌아서서 제자들에게 따로 이르셨다. “너희가 보는 것을 보는 눈은 행복하다.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많은 예언자와 임금이 너희가 보는 것을 보려고 하였지만 보지 못하였고, 너희가 듣는 것을 들으려고 하였지만 듣지 못하였다.” (루카 10,17-24)


<멀고도 먼 과제, 자기 해방의 실현>

오늘 우리는 그리스도 신자들뿐만 아니라 타종교인들, 무신론자들에게서까지 존경과 흠모를 한 몸에 받고 있는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의 축일을 경축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프란치스코를 일컬어 ‘제2의 그리스도’ ‘새로운 복음사가’라고 칭하는데 주저하지 않습니다. 그만큼 그는 적극적으로 예수님을 추종하기 위해 자신의 생애 전체를 바쳤습니다. 읽고, 느끼고, 받아들인 복음을 자신의 온 몸으로 실천하기 위해 자신의 인생 전체를 걸었던 것입니다.

개신교 역사학자 폴 사비티에는 프란치스코를 가리켜 이렇게 말했습니다.

“프란치스코는 인류 역사를 통틀어 교회가 배출한 가장 위대한 성인입니다.”

프란치스코와 여러 측면에서 ‘코드’가 맞았던 마하트마 간디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백년마다 한 번씩 프란치스코가 태어난다면 인류의 구원은 보장이 될텐데...”

다음의 일화를 통해 우리는 그가 온몸으로 실천했던 복음적 가난이 어떠한 것이었는지 잘 알 수 있습니다.

프란치스코를 따르는 형제들이 하나 둘 모여들던 초창기시절이었습니다. 하루는 어떤 농부가 프란치스코와 형제들이 숙소로 삼고 있는 헛간을 찾아왔습니다. 그리고는 그 헛간에 당나귀를 들여놓아야 되겠다고 말했습니다. 자신들의 안방에다 당나귀를 들이겠다는 농부의 말에 제자들은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어 올랐습니다.

그러자 성깔이 만만치 않았던 농부 역시 단 한치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농부는 형제들을 향해 입에 담지 못한 욕설을 마구 퍼부었습니다. 묵묵히 듣고 있던 프란치스코는 농부를 향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형제여, 이제 그만 두시오. 우리가 살던 곳을 차지하시오. 우리 형제들은 이 땅에서 아무 것도 소유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제자들에게 얼굴을 돌리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가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은 것은 당나귀와 자리다툼하기 위함이 아니고 당신의 복음을 전하기 위함입니다. 자 갑시다. 어디 밤샐 곳이야 있겠지요.”

안타깝게도 프란치스코는 44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이른 죽음의 이유는 다름 아닌 철저한 복음의 실현 때문이었습니다. 험난했던 복음전파 여행, 계속되는 과로, 그로 인한 위장병, 간장병, 각혈, 눈병...

프란치스코는 죽음이 서서히 다가옴은 깨닫습니다. 그러자 형제들에게 남길 유언서를 쓰기 시작하는데, 한 구절 한 구절 감동적이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서로 사랑하십시오. 내가 여러분을 늘 사랑했고 지금도 사랑하는 것과 같이. 우리의 거룩한 귀부인 가난을 받으십시오. 모든 사람들에게 굽히며, 가난하고 고통 받는 사람들을 사랑하십시오.”

프란치스코에게 있어 가장 독특하고 감동적인 측면은 만인형제애(萬人兄弟愛)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에게 있어 모든 사람, 모든 대상은 형제이며 사랑의 대상이었습니다.

심지어 자신에게 다가오던 죽음에게조차 이런 표현을 썼습니다.

“어서 와요. 자매인 죽음이여!”

프란치스코 회헌에는 이런 표현도 있습니다.

“그대들에게 오는 사람 모두, 그가 친구이든 원수이든 강도든 도둑이든 모두 형제로 맞아들여야 합니다.”

프란치스코가 내린 ‘가난을 통한 예수 그리스도의 추종’이란 선택과 결단은 당시 사회의 통념이나 상식을 완전히 초월하는 특별한 결단이었기에 그가 직면했던 어려움이나 헤쳐 나가야했던 도전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큰 것이었습니다.

주님께서 보여주신 새로운 복음적 길을 확신했던 프란치스코였지만 꾸준히 그 길을 걸어가기란 정녕 힘겨웠습니다. 그도 결국 어쩔 수 없는 한 나약한 인간이었기에 불확실성과 어둠사이에서 방황도 많았습니다. 제대로 된 빛을 찾기까지 일생동안 고달프고 힘겹고 외로운 투쟁을 계속해왔습니다.

그의 생애는 길고도 지루한, 그러나 완만하나 꾸준한 상승곡선을 그린 신앙여정이었습니다.

프란치스코 가난의 특징은 사회적응의 실패로서의 가난, 어쩔 수 없이 맞이하게 된 비참하고 궁색한 가난이 절대로 아니었습니다.

프란치스코는 세속적 안녕과 물질만능주의의 예속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자기해방의 도구로서 가난을 선택한 것입니다.

완벽한 가난을 자신의 삶에 적용함을 통해 대자유인이 된 프란치스코는 가난으로 인한 정신적, 육체적 부담이나 초조감에서 완전히 자유로워졌기에 만민의 형제가 될 수 있었습니다.

†살레시오회 수도원 수련원장 양승국 스테파노 신부†

?

첨부파일크기
SaintFrancisco.jpg52.56 KB